본문 바로가기

휴대폰 스마트폰 상식

긴급재난문자를 받지 못하는 휴대폰이 있다

긴급재난문자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해서 여러가지 재난이 발생할 때 시민들이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를 통해서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를 말합니다. 문자를 전송할지 여부는 행정안전부 소속 소방청에서 결정한 후 전송합니다. 최근에는 광영자치단체와 기초자체단체에서도 바로 송출할 수 있게 바뀌었습니다. 긴급재난 문자를 보내는 재난에는 지진, 태풍, 홍수, 폭설, 대형 화재, 화산폭발, 미세먼지와 같은 자연재해와 전쟁같은 국가 위기 상황, 급하게 알려야 할 사항이 있을 때 전송합니다. 

 

긴급재난문자는 특히 2017년 포항지진 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당시에 지진이 발생한 후 바로 긴급재난문자가 전송되었고, 지진이 발생한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던 시민들은 긴급재난문자을 받은 후 몇십 초 후에 진동을 느꼈죠. 시민의 안전을 위해서 꼭 필요한 긴급재난문자, 하지만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없는 휴대폰이 있습니다.

 

 

3G 휴대폰은 긴급재난문자 불가

긴급재난문자는 2G 시대에는 휴대폰에 기본기능으로 내장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3G 휴대폰에는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신을 할 수 없습니다. 그나마 3G 스마트폰은 '안전디딤돌'이라는 어플을 설치하면 받을 수 있지만 3G 피쳐폰은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리고 2013년 1월 1일 이전에 제조된 휴대폰은 LTE폰이라고 해도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단말기나 통신상태에 따라서 받을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2013년 1월 1일 이후에 국내에서 출시되는 모든 휴대폰은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3G 휴대폰은 여전히 받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LTE를 지원하는 해외 휴대폰도 긴급재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렇게 정리를 하면 되겠습니다.

 

-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는 폰 : 2013년 이후 제조된 LTE 휴대폰, 일부 2G 휴대폰

예시) 삼석 갤럭시 S4, 노트3, 엘지 G프로, 아이폰5, 베가레이서2와 이후 제조된 모델

-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없는 폰 : 2012년까지 제조된 휴대폰, 3G 휴대폰, 일부 2G 휴대폰

- 어플 설치 후 긴급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는 폰 : 2012년까지 제조된 3G 및 LTE 스마트폰, 블랙베리폰, 넥서스5

 

 

휴대폰 설정메뉴에서 긴급재난문자가 오지 않도록 설정을 할 수도 있습니다. 긴급재난문자는 때로는 굉장히 귀찮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은데 갑자기 삐익삐익 하는 소리 때문에 놀랄 수도 있고 조용해야 하는 곳에서 울릴 수도 있기 때문이죠. 몇 번의 귀찮음을 참다 보면 언젠가는 정말 긴급한 상황에서 긴급재난문자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으니 반드시 수신가능하도록 설정해 놓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재난상황이 발생한다고 해서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지 않을 수도 있고, 휴대폰이나 통신상황에 따라 발송된 긴급재난문자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 역시 알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위너스텔입니다.

 

https://www.idowell.co.kr/home/

 

위너스텔

KT 알뜰폰 , 우체국 알뜰폰 , 휴대폰가입 , 실시간요금조회 , 이벤트

www.idowel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