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을 가입할 때, 다음의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번호이동 : 원래 사용하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통신사만을 옮기는 것
신규 : 통신사에 가입하면서 새로운 번호를 받아 사용하는 것
원래 사용하던 번호가 바뀌면 그동안 연락하고 지냈던 사람들과 연락이 끊어져 버리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번호이동으로 통신사만을 옮겨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번호이동을 할 때에 좀 문제가 많이 발생합니다. 그중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인증불일치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증불일치가 뭔가요?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통신사만 이동한다는 것은 가입하려는 통신사가 원래 사용하던 통신사의 번호를 전산을 통해서 빼내 온다는 걸 말합니다. 그런데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혹시라도 고객이 신청하지 않았는데도 번호를 빼온다든지, 실수로 다른 번호를 빼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 가입해 있던 통신사로부터 번호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전산상으로 인증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그 인증과정중에 인증번호가 맞지 않는 경우를 인증불일치라고 합니다.
인증방법의 종류
인증방법은 다음의 4가지가 있습니다.
1. 기기인증 : 기기의 일련번호 마지막 숫자 네 개로 인증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주의 할 것은 IMEI 번호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인증번호는 배터리를 빼서 그 밑면을 보면 아래쪽에 6~7자리 숫자로 적혀 있습니다.
2. 계좌인증 : 가입해 있던 통신사로 자동이체했던 계좌의 마지막 숫자 네 개로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역시 주의할 것은 체크카드로 자동납부하는 경우입니다. 이 때 돈은 계좌에서 빠져나가지만 결제수단을 체크카드로 했으면 카드인증으로 인증받아야 합니다.
3. 카드인증 : 가입해 있던 통신사로 자동납부했던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의 마지막 숫자 네 개로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좌인증도 마찬가지이지만 앞으로 납부할 카드번호가 아니라 현재 통신사에서 납부하고 있는 카드번호가 필요합니다.
4. 지로인증 : 가입해 있던 통신사에 지로로 납부를 하고 있을 경우에는 숫자 필요없이 지로로 납부했다고 알리기만 하면 됩니다.
인증불일치는 개통불가 사유 중에서 가장 흔합니다. 의외로 자신의 전화요금이 어떻게 지불되고 있는지 모르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어떤 분은 5~6 차례에 걸쳐서 인증확인을 한 후에야 개통이 되는 분들도 있습니다. 또, 어차피 내껀데 왜 개통이 안되느냐고 항의하시는 분들도 꽤 있습니다. 하지만 전산상으로 맞지 않는 부분이 생기면 어떻게 할 수가 없습니다. 우회해서 개통을 할 방법이 없으니 어떻게 할 도리가 없습니다.
인증에 있어서 가장 간단한 방법은 기기인증입니다. 하지만 일체형 휴대폰이나 어떤 이유로 전산에 기기가 제대로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들이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계좌나 카드 번호를 확인합니다. 그래도 안되면 원래 통신사에 연락해서 납부방법을 지로로 바꿔 달라고 가입자에게 부탁을 해서 겨우겨우 개통을 하기도 합니다.
우체국 알뜰폰은 특히 가입자와 얼굴을 맞대고 개통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증불일치가 발생하면 여러차례 연락을 해서 확인 후 개통을 해야 합니다. 연락 몇번하는 것이야 큰 문제겠습니까? 단지, 급하게 사용하실 분들의 휴대폰 개통이 늦어지기 때문에 문제인 거죠.
알뜰폰에 번호이동을 신청하실 때는 반드시 지금 내 통화요금이 어디서 빠져나가고 있는지 확인하시면 좀더 편하고 빠르게 개통할 수 있습니다.
위너스텔입니다.
'휴대폰 스마트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여행시, 데이터로밍 하는게 좋을까? (0) | 2019.07.29 |
---|---|
유심칩을 끼웠는데 전화가 안돼요. ㅠㅠ 유심수동등록방법 (0) | 2019.07.26 |
긴급재난문자를 받지 못하는 휴대폰이 있다 (0) | 2019.07.25 |
눈 건강에 좋지 않다는 블루 라이트에 대해서 알아 보자 (0) | 2019.07.24 |
명의불일치 / 번호이동을 하려고 하는데 명의가 다르다고 합니다. 어떻게 하나요? (0) | 201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