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요금 고지서 잘 챙겨 보시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폰 요금을 자동이체하고 있기 때문에 대략적인 요금은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어떤 항목으로 요금이 나오는지 잘 모르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요금이 나가는지 모르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때때로 몇 년 동안 요금을 정확하게 모르고 납부하시다가 항의를 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휴대폰 요금이 예상외로 많이 나왔을 때 확인해 볼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번호이동했을 때, 이전 통신사 요금 합산 청구
한 통신사(A)를 사용하다 번호를 그대로 유지하고서 다른 통신사(B)로 옮기는 것을 번호이동이라고 하죠. 번호이동을 하면 A사에 남아 있는 요금은 A사에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B사에서 지불합니다. 그러니까 번호이동을 한 후 다음달에 첫 요금고지서가 나올텐데, 그 때 합산해서 청구를 합니다. 당연히 예상했던 요금보다 A사에서 넘어온만큼 많은 요금이 청구되어서 모르고 있으면 깜짝 놀라서 고객센터에 연락을 하게 됩니다. 번호이동시에는 이전 통신사 요금이 다음 통신사 요금에 합산청구된다는 걸 잊지 마세요. 단, 단말기 할부 요금은 다음 통신사로 넘어가지 않고 이전 통신사에서 계속해서 청구합니다.
해외데이터 로밍
해외여행을 할 때 지금은 대부분 로밍을 사용합니다. 외국 공항에 도착하면 바로 로밍이 되어서 편리하긴 하지만 요금이 아무래도 국내에서 사용할 때보다는 많이 비싼 편이죠. 음성이나 문자도 비싸지만 문제는 데이터 로밍입니다. 데이터 로밍은 정말 비쌉니다. 속도도 좋지 않구요. 그냥 간단하게 몇 MB 정도 사용한 것만으로도 몇 만원씩 청구되는 경우도 있고, 그냥 사진을 찍는다든지, 백그라운드로 어플이 업데이트될 때도 나도 모르게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로밍은 정말 가성비가 좋지 않습니다. 해외여행할 때는 데이터로밍은 차단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안심차단
스마트폰으로 요금이 나가는 것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 음성, 문자, 데이터입니다. 최근에는 문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편이고 음성의 사용량도 많이 줄었지만 데이터는 사용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죠. 그런데 많은 분들이 요금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제공량을 사용하고 나면 자동으로 제한되어서 더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통화 100분, 문자 100건, 데이터 1GB를 제공하는 요금제라면 그걸 다쓰고 나면 자동으로 차단되는 걸로 알고 있는 거죠. 이걸 안심차단이라고 하는데, 안심차단은 통신사별로 다르지만 부가서비스입니다. 요금제에 포함되어 있기도 하고, 부가서비스로 가입을 해야 하기도 하죠. 기본제공량을 넘어서 사용하더라도 자동으로 사용량이 차단되지 않고 더 사용하면 요금은 더 나온다고 알고 계시면 됩니다. 안심차단을 원하시면 고객센터에 연락해서 따로 요청을 하셔야 합니다.
연결되어 있는 통화
연세가 있으신 사용자 분들께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하다가 통화종료버튼을 누르지 않아서 계속해서 통화중인 상태가 되어 있는 거죠. 상대방이라도 종료버튼을 눌렀다면 통화가 끊어질텐데, 상대방도 종료를 하지 않아 계속해서 통화상태로 남아 있으면 통화료가 계속 부과됩니다. 특히, 밤중에 통화하다가 종료하지 않고 다음날 아침까지 통화상태라면 꽤 많은 요금이 한꺼번에 부과됩니다. 예전에 많이 사용한 폴더폰은 폴더를 닫으면 자동으로 통화가 끊어져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통화를 한 후에는 반드시 종료버튼을 누르시기 바랍니다.
통화무제한 ≠ 무제한
예전에는 무제한요금제라는 말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일정 기본요금을 내면 통화든 문자든 데이터든 걱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죠. 하지만 지금은 무제한이라는 말을 잘 쓰지 않습니다. 오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인데요, 기본요금 이상 요금이 나올 수 있다는 뜻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통화에서 1588이나 1577같은 대표번호를 사용할 경우입니다. 이걸 부가통화라고 하는데요. 통화를 기본제공(무제한제공)한다고 하더라도 대표번호로 전화하는 것은 따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요금제에 따라 한 달에 30분에서 200분까지는 요금이 부과되지 않지만 그 이상 통화를 하면 요금이 따로 부과됩니다.예를 들자면 은행에 전화를 해서 상담을 오랫동안 하면 부가통화 기준을 넘어갈 수 있죠. 050이나 030으로 하는 통화 역시 마찬가지이고, 114에는 한 통만 걸어도 따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참고로 통화나 문자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한 달에 100시간 이상 전화를 한다든지 문자를 굉장히 많이 보낸다든지 할 경우에는 상업적 이용으로 판단된다고 해서 사용이 제한되거나 요금이 따로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
이상 예상보다 요금이 많이 나왔을 때 기본적으로 확인해 볼 것들을 알아 봤습니다. 위너스텔입니다.
https://www.idowell.co.kr/home/
위너스텔
KT 알뜰폰 , 우체국 알뜰폰 , 휴대폰가입 , 실시간요금조회 , 이벤트
www.idowell.co.kr
'휴대폰 스마트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가 이륙할 때 휴대폰을 꺼야 하나요? 비행기모드에 관하여.. (0) | 2019.08.21 |
---|---|
일할계산? 한달 기준? 휴대폰요금 과금 기준에 대해서 알아 보자 (0) | 2019.08.13 |
1GB로 몇 시간 쓸 수 있어요?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은 얼마나 될까? (0) | 2019.08.05 |
과다한 스마트폰 사용시 생길 수 있는 질병 (0) | 2019.08.02 |
사람들이 의외로 자기 휴대폰에 대해서 모르는 것들..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