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GB, TB... 이제는 IT를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아주 익숙한 단위들입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저장용량 단위이지요. 물론 데이터 단위로도 쓰이고 Mbps(Mb per second) 등로 시간단위와 함께 쓰이면 데이터 속도로도 사용됩니다. 이미 정보화 시대에 접어든 현대에는 킬로그램이나 미터처럼 굉장히 익숙한 단위입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외장 하드디스크를 구매할 때 중요한 척도가 되고, 인터넷을 가입할 때도 속도는 중요한 가입판단 기준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장장치 용량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정보의 최소 단위는 비트 bit입니다. Binary Digit에서 세 글자를 따와 bit라고 이름 지어졌습니다. 흔히 전원이 켜진 상태를 1, 전원이 꺼진 상태를 0처럼 온오프 개념으로 2개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음 단위는 바이트 Byte입니다. 바이트는 정보 처리의 최소단위이며 8개의 비트로 구성됩니다. 2를 8제곱하면 256이 되고 0부터 255까지 256개의 값을 가집니다. 비트와 바이트는 둘다 b로 시작하기 때문에 보통 단위표시를 할 때 비트는 소문자 b, 바이트는 대문자 B로 표시를 합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 문화에서는 만, 억, 조, 경처럼 10,000 배를 할 때마다 단위가 새로 생깁니다. 서양에서는 천 배를 할 때마다 단위가 하나씩 생기죠. 바이트를 1,000배 하면 킬로바이트 KB가 됩니다. 킬로바이트를 1,000배 하면 메가바이트 MB가 되죠. 그다음은 GB, TB.. 이런 식으로 단위가 올라갑니다. 개인 사용자가 페타바이트 이상의 단위를 언제쯤 사용하게 될지 알 수는 없지만 단위를 알아 보겠습니다.
비트 Bit = 정보의 최소 단위
바이트 Byte = 8 비트, 정보 처리의 최소 단위
킬로바이트 Kilobyte = 1,024 바이트
메가바이트 Megabyte = 1,024 킬로바이트
기가바이트 Gigabyte = 1,024 메가바이트
테라바이트 Terabyte = 1,024 기가바이트
페타바이트 Petabyte = 1,024 테라바이트
엑사바이트 Exabyte = 1,024 페타바이트
제타바이트 Zettabyte = 1,024 엑사바이트
요타바이트 Yottabyte = 1,024 제타바이트
1TB = 931GB? 내 용량 어디갔어?
메모리 용량을 알아 봤으니 한가지 숫자 때문에 생기는 문제를 알아 보겠습니다. 컴퓨터의 내장하드디스크 혹은 외장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자세히 살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모자라 1GB 용량의 외장하드디스크를 구매해서 포맷을 한 후 용량을 살펴 보니, 앗! 분명히 1TB 저장용량인 줄 알고 구매를 했는데, 931GB라고 용량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1TB는 1,024GB이니까 거의 100GB가 사라졌습니다. 이 외장하드디스크 불량 아닌가요? 아니면 용량을 속이고 있는 걸까요?
이것은 저장용량의 표기방법이 달라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하드디스크나 USB 메모리, 최근 사용이 늘고 있는 SSD 등의 저장장치를 제조하는 제조사는 저장용량을 10진법으로 표기합니다. 반면에 흔히 많이 사용하는 운영체제인 윈도우는 저장용량을 2진법으로 표시합니다. 저장장치는 1KB가 1,000 바이트인데 반해서 윈도우즈는 1KB를 1,024 바이트로 인식하는 것이죠. 여기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용량이 적을 때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데, 용량이 늘어날수록 제곱이 되므로 점점 차이가 커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제조사에서 표시하는 1TB는 10을 9제곱한 1,000,000,000 바이트이지만 윈도우즈에서 인식하는 1TB는 2를 30제곱한 1,073,741,824 바이트입니다. 같은 TB 단위를 사용하고 있지만 정확하게는 그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표시되는 용량에서 차이가 납니다. 실제로 1,000,000,000을 1,073,741,824로 나누면 약 0.931이 나옵니다. 그래서 931GB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초창기에는 이런 차이를 알지 못한 소비자들이 제조사에 항의전화를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고 합니다. 용량을 속이고 있다고 의심을 받았기 때문이죠. 사실상 용량을 조금이라도 더 많은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제조사의 의도도 완전히 없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저장용량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위너스텔입니다.
https://www.idowell.co.kr/home/
위너스텔
KT 알뜰폰 , 우체국 알뜰폰 , 휴대폰가입 , 실시간요금조회 , 이벤트
www.idowell.co.kr
'휴대폰 스마트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가 이륙할 때 휴대폰을 꺼야 하나요? 비행기모드에 관하여.. (0) | 2019.08.21 |
---|---|
일할계산? 한달 기준? 휴대폰요금 과금 기준에 대해서 알아 보자 (0) | 2019.08.13 |
휴대폰 요금이 많이 나왔을 때 체크할 것들 (0) | 2019.08.09 |
1GB로 몇 시간 쓸 수 있어요?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은 얼마나 될까? (0) | 2019.08.05 |
과다한 스마트폰 사용시 생길 수 있는 질병 (0) | 2019.08.02 |